본문 바로가기
독서/습관: 독서에 관한 이야기

현재 대한민국 성인 독서율은 역대 최저 기록중

by 에그치즈토스트🥚🧀 2025. 4. 27.
728x90
반응형

 
 
 

대한민국은 과연 책을 얼마나 가까이하고 있을까요?

 

📚 👩‍🏫 성인독서율은 현재 최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2025년 현재 한국의 성인 독서율은 여전히 낮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제4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을 발표했는데요. 성인 독서율을 2023년 43%에서 2028년 50%로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3년 43% 수치는 1994년 독서 실태 조사 이후 최저 수치라고 합니다.
 
다행히도 (?) 2023년 기준 학생들의 독서율은 95.8%로 2021년 대비 4.4% 증가한 수치입니다. 연간 독서량은 평균 36권 정도로 2021년 대비 1.6권 늘어난 수치라고 하네요. 아마도 학생들의 경우 교육의 집중 대상이므로 자의적이기보단 시험 등을 이유로 필수적으로 독서를 해야 하기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제는 전자책이 대세?

성인의 경우 2023년 기준 종이책 독서율은 32.3%이며, '성인 10명 중 7명이 종이책을 1년 동안 한 권조차도 읽지 않는 심각한 상황'입니다. 전자책의 경우 독서율은 소폭 증가했는데, 특히 전자기기에 익숙한 20대에서 늘어났다고합니다. 학생들의 경우 2023년 기준 종이책 독서율은 93.1%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였습니다. 전자책 독서율도 51.9%로 증가추세라고 합니다.
 

🚧 독서를 하지않는 핑곗거리는 무엇일까요?

 성인의 경우 가장 많이 응답한 핑계는 '일 때문에 시간이 없다.' (24.4%)였으며, '다른 매체 이용' (23.4%)이 그다음이었습니다.
책을 가까이하기엔 재미있는 요소가 너무 많은 건 모두 공감되는 사실입니다.
학생들은 어떨까요? 가장 큰 장애 요인은 '공부 때문에 시간이 없다.' (31.2%)입니다. 이러한 통계는 학생들의 독서 습관 유지가 강제적이거나 목표를 위주로 하는 교육 방식에 있어서 결국 성인이 되어서는 변곡점이 당연히 생길 수밖에 없다고 생각됩니다. 이미 입시를 목표로 공부할 분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책을 읽을 여유가 없다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그렇다면, 독서를 하지 않은 대한민국은 왜 위태로울까요? 독서가 인간에게 어떤 이로움을 주길래 이토록 강조할까요?
 

📖  1.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능력

무엇이 문제인지 어떤 사물에 대한 본질을 꿰뚫는 Insight는 독서를 통해서만 늘어날 수 있습니다. 물론 타고난 사람들도 있지만 이런 훈련은 독서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경험들이 쌓여서 나올 수 있는 것입니다.
 

🗣  2. 의사소통 능력과 논리력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은 어휘력이 풍부합니다. 자신의 의사를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 올바른 단어를 선택하고 찾아낼 수 있으며 단어에서 오는 미세한 차이를 잡아내어 문맥의 흐름을 이해하는 능력이 탁월해집니다. 이러한 차이는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서 표현하고 누군가를 설득할 때에는 더욱 유용합니다. 심지어 독서를 하는 어린이이의 대화를 들어보면 종종 성인들도 놀랄만한 단어나 표현을 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3. 공감 능력과 지식의 확장

독서를 통해 실제 경험하기 어려운 것을 간접적으로 느끼면서 공감능력과 자신의 지식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독서를 통해 사고력을 키우고 자신이 아직 모르는 것을 배우려 하는 삶의 태도가 올바르게 자리 잡습니다. 주변이나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경로를 통해서만 판단하는 정보 편향이나 또는 고정관념에 쉽게 노출됩니다.
 
독서를 흔히 마음의 양식이라고 하듯이 독서를 통한 가치관을 세워나가는 일은 어린 시절부터 성인이 되고서도 자아형성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흔히 '도둑이 들면 재산과 집과 모든 것을 약탈하더라도 머릿속에 든 지식은 빼앗을 수 없다'고 합니다. 사람의 기본적인 소양과 도덕성, 사회성도 모두 다 학습을 통해서 이뤄지는 것처럼 독서를 통해 올바른 사람으로 성장하는 데 독서를 가까이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독서와 학습

 

대한민국 서점은 멸종위기? 공공도서관은 오히려 증가 추세!

대한민국의 서점은 사라지고 있다.책의 가치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인구 감소와 고령화 온라인 서점의 확산 등으로 인해 서점을 찾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큰 도시에는 대형서점부터

editor0813.tistory.com

 

책을 멀리했던 당신에게 추천하는 다시 책을 읽어야만 하는 이유

📚 책을 멀리했던 당신이 책을 꼭 다시 열어야 하는 이유 요즘 책 읽는 사람들이 정말 많이 줄었습니다. 예전에도 독서량이 적었다고 하는데 스마트폰이 생기고부터는 확실히 더 줄어든 것 같

editor0813.tistory.com

 

728x90
반응형